JAVA 33

[JAVA] 형변환과 조건문

1. 형변환 1-1. 형변환 - 변수의 자료형이 변환되는 것을 의미한다. - 특정 자료형의 값을 다른 자료형의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. - 암묵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의 두 종류가 있다. 1-2. 암묵적 형변환 - 서로 다른 자료형을 연산 혹은 대입하는 경우, Java컴파일러가 자료형을 통일한다.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변환을 암묵적 형변환이라 한다. long a = 100;// 정수형 float b = a; // 정수형을 실수형에 대입 -> 암묵적 형변환은 어떤 변수가 더 큰 범위의 변수로 대입 가능함을 의미한다. - 암묵적 형변환은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진다. - double형 테이터 20.5를 int에 대입하는 경우에는 0.5에 대한 데이터 손실이 불가피하므로, 에러가 ..

JAVA 2021.09.24

[JAVA] 연산자

1. 연산자 1-1. 프로그램에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수기호들 2-2. 대입연산자 - 대입 연산자(=)는 좌변에서 우변을 대입한다는 의미이다. - 수학에서는"=" 기호가 대입한다는 의미와 같다는 의미로 함께 사용되지만, JAVA에서의 "=" 기호는 "대입한다"는 의미로만 사용된다. 2-3. 사칙 연산자 - 일반적으로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,%)을 수행한다. - 사칙연산의 결과는 대입연산자를 통하여 다른 변수에 대입될 수 있다. - 정수(byte, short, int, long)와 실수(float, double)의 연산시에는 정수가 실수 형태로 자동 변환되어 처리되기 때문에, 결과는 실수가 된다. - 나눗셈에 있어서의 주의 사항 -> 10 나누기 3을 계산할때, 수학..

JAVA 2021.09.24

[JAVA] 주석문과 변수

1. 주석문 1-1. 주석문이란? - 주석문이 개발자의 필요에 따라 명시하는 설명문으로, 주석문은 프로그램으로 컴파일되지 않는다. - 특정 명령문이 실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. 1-2. 주석문의 종류 - 한 줄만 처리하는 주석문 - "//"가 앞에 명시된 라인은 주석으로 인식됨. - 여러줄을 처리하는 주석문 - /* 이 블록 안에서는 여러 라인을 주석으로 처리할 수 있다. */ 2. 변수의 이해 2-1. 변수의 이해 - JAVA서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표현할 수 있는 값을 변수라 부르며,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"데이터"에 해당한다. 2-2. 자료형(data type) -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워드. - 자바에서 제공되는 자료형..

JAVA 2021.09.15